오늘은 shellinabox를 사용할 때 console 창에서 ID / PWD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login이 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shellinabox에서 아직 잘 모르시거나, 설치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velope/Linux] -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오늘은 리눅스(Linux)를 putty나 다른 ssh tool 또는 터미널 명령어가 아닌 web에서 console형태의 ssh 접속을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linux서버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인 she
bono915.tistory.com
저는 ubuntu 환경에서 shellinabox auto login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Linux OS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 python install
$ apt-get install python
2. sshpass install
$ apt-get install sshpass
3. sshd_config 수정
기본적으로 ssh의 root login이 막혀있기 때문에 sshd_config에서
root login을 할 수 있도록 수정합니다.
$ vi /etc/ssh/sshd_config
...
PermitRootLogin yes 로 수정
...
$ service sshd restart
4. cmd.sh 생성
현재 cmd.sh 설정에는 url의 param으로 password을 받아서 파싱 하여 auto login 하게 설정했지만,
param을 ID까지 추가하여 ID / PWD 모두 파싱하여 처리할 수 도 있고,
브라우저에 ID / PWD를 입력하지 않고 IP : PORT만 입력하여도 자동으로 login 하도록 처리하고 싶다면,
해당 shell 에서 PWD="{password}", USER="{ID}" 값만 입력하여
정의된 값으로 auto login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합니다.
$ vi /etc/default/cmd.sh
#!/bin/bash
URL="$1"
PWD="$(python -c "import urlparse;p=urlparse.urlparse(\"$URL\");print urlparse.parse_qs(p.query)[\"password\"][0];")"
USER="root" #ssh 접속할 계정 입력
sshpass -p "$PWD" ssh -o StrictHostKeyChecking=no -t "$USER@localhost"
# param으로 받지 않고 정의된 값으로 auto login 할 경우
sshpass -p "pass001" ssh -o StrictHostKeyChecking=no -t "root@localhost"
$ chmod 755 /etc/default/cmd.sh
5. shellinabox config 수정
$ vi /etc/default/shellinabox
...
SHELLINABOX_ARGS="--no-beep --disable-ssl -s '/:root:root:HOME:/etc/default/cmd.sh \"\${url}\"'"
로 변경
...
$ service shellinabox restart
6.shlleinabox console 접속
위 설정이 모두 끝났을때 구성한 shellinabox의 console url의 param으로 password를 입력하면
해당 password값을 파싱 하여 자동으로 login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192.168.33.24:3190/?password=pass001

지금까지 shellinabox auto login 구성 방법에 대한 포스팅 이였습니다.
'Develop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wap 영구 비활성화 방법 (0) | 2023.03.26 |
---|---|
[Linux] Ubuntu DNS 설정 (18.04 이후 버전) (0) | 2022.12.02 |
[Linux] qemu-img os image size 설정 방법 (0) | 2022.08.24 |
[Linux] ubuntu 패키지 및 Library 의존성 문제 해결 방법 (0) | 2022.08.03 |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0) | 2022.08.02 |
오늘은 shellinabox를 사용할 때 console 창에서 ID / PWD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login이 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shellinabox에서 아직 잘 모르시거나, 설치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velope/Linux] -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오늘은 리눅스(Linux)를 putty나 다른 ssh tool 또는 터미널 명령어가 아닌 web에서 console형태의 ssh 접속을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linux서버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인 she
bono915.tistory.com
저는 ubuntu 환경에서 shellinabox auto login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Linux OS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 python install
$ apt-get install python
2. sshpass install
$ apt-get install sshpass
3. sshd_config 수정
기본적으로 ssh의 root login이 막혀있기 때문에 sshd_config에서
root login을 할 수 있도록 수정합니다.
$ vi /etc/ssh/sshd_config
...
PermitRootLogin yes 로 수정
...
$ service sshd restart
4. cmd.sh 생성
현재 cmd.sh 설정에는 url의 param으로 password을 받아서 파싱 하여 auto login 하게 설정했지만,
param을 ID까지 추가하여 ID / PWD 모두 파싱하여 처리할 수 도 있고,
브라우저에 ID / PWD를 입력하지 않고 IP : PORT만 입력하여도 자동으로 login 하도록 처리하고 싶다면,
해당 shell 에서 PWD="{password}", USER="{ID}" 값만 입력하여
정의된 값으로 auto login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합니다.
$ vi /etc/default/cmd.sh
#!/bin/bash
URL="$1"
PWD="$(python -c "import urlparse;p=urlparse.urlparse(\"$URL\");print urlparse.parse_qs(p.query)[\"password\"][0];")"
USER="root" #ssh 접속할 계정 입력
sshpass -p "$PWD" ssh -o StrictHostKeyChecking=no -t "$USER@localhost"
# param으로 받지 않고 정의된 값으로 auto login 할 경우
sshpass -p "pass001" ssh -o StrictHostKeyChecking=no -t "root@localhost"
$ chmod 755 /etc/default/cmd.sh
5. shellinabox config 수정
$ vi /etc/default/shellinabox
...
SHELLINABOX_ARGS="--no-beep --disable-ssl -s '/:root:root:HOME:/etc/default/cmd.sh \"\${url}\"'"
로 변경
...
$ service shellinabox restart
6.shlleinabox console 접속
위 설정이 모두 끝났을때 구성한 shellinabox의 console url의 param으로 password를 입력하면
해당 password값을 파싱 하여 자동으로 login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192.168.33.24:3190/?password=pass001

지금까지 shellinabox auto login 구성 방법에 대한 포스팅 이였습니다.
'Develop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wap 영구 비활성화 방법 (0) | 2023.03.26 |
---|---|
[Linux] Ubuntu DNS 설정 (18.04 이후 버전) (0) | 2022.12.02 |
[Linux] qemu-img os image size 설정 방법 (0) | 2022.08.24 |
[Linux] ubuntu 패키지 및 Library 의존성 문제 해결 방법 (0) | 2022.08.03 |
[Linux] shellinabox를 이용한 리눅스 web-console 및 web-ssh 사용방법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