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매우 화가 나는 일이 있어서 포스팅을 하게 되었네요.....! 저도 다른 분들처럼 CKA 시험을 보고 합격 후기를 올리고 싶었는데, 현재 일정 변경 오류로 인해 저의 시험이 NO-SHOW 처리가 된 것 같습니다. CKA는 총 시험 기회를 2회 제공해주지만, NO-SHOW 처리가 될 경우엔 2회 모두 한 번에 박탈당하며, 1년 동안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 또한 사라지게 됩니다. 현재는 고객센터 및 이메일로 문의를 넣은 상태이며 저 같은 분들이 생길 수도 있을 거 같아서 내용을 함께 블로그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2022-09-17에 CKA 시험을 처음 등록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최초 시험 등록 일정을 저에게 확인시켜준 답변 메일입니다. 그리고 저는 사정이 생겨서 2022-10-08으로 시험일..
오늘은 Kubernetes minikube start error - Unit file cri-docker.socket does not exist 해결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kubernetes의 환경에서 가장 minimun한 아키텍처로 1개의 master node와 2개의 worker node로 구성이 되어있지만, minikube로 한개의 node에서 master node와 worker node 역할을 모두 할수있습니다. 물론 kubernetes의 간소화 버전 및 기능이라 기본적인 동작과 구성 요소는 비슷할 것입니다. kubernetes의 runtime으로 동작하는 docker 및 containerd와 같이 minikube 또한 runtime이 필요합니다. minikube servi..
오늘은 Kubernetes Kubevirt vm containerDisk image 생성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전에 containerDisk에 추가할 OS image를 미리 준비하고, Dockerfile을 생성합니다. # cat Dockerfile FROM kubevirt/container-disk-v1alpha ADD /home/gsjeong/disk.img /disk/ END docker hub에 올려야 하기 때문에, docker login을 합니다. # docker login 현재 디렉토리에서 docker를 build 하고 push 합니다. # docker build -t bono915/ubuntu:latest . # docker push bono915/ubuntu:latest 정상적..
오늘은 qemu-img를 이용하여 os image size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용 중인 OS를 image로 만들거나 백업을 할 때 image size가 과도하게 높거나 점점 높아지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실제 사용 중인 disk 용량이 늘어나면 image 용량 또한 함께 증가하는 게 맞지만, disk의 용량을 비워내도 image의 용량은 줄어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image 용량을 축소해야 저장공간도 아끼고 image를 옮기기에도 편리합니다. 예제를 통해 os image를 축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ubuntu에서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qemu-utils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qemu-utils 현재 제가 가진 os image의 size는 ..
오늘은 Linux 중에서 ubuntu의 의존성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여기에서 의존성이란 Linux에서 패키지를 install 할 때 필요한 library의 버전 호환 및 설치 유무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면 library들이 알맞게 설치되지만, 해당 library들이 문제가 있거나,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해당 패키지의 서비스가 의존성 문제가 발생했다고 나타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것입니다. 의존성 문제에 대한 에러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shellinabox에서 openssl의 library인 libssl.so.1.0.0을 찾을 수 없다고 나타났습니다. gsjeong-VirtualBox shellinabox[740]: /usr/bin/she..
오늘은 리눅스(Linux)를 putty나 다른 ssh tool 또는 터미널 명령어가 아닌 web에서 console형태의 ssh 접속을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linux서버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인 shellinabox를 설치해야합니다. shellinabox란 웹 기반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의미합니다. 지정된 포트에서 웹 기반의 SSH클라이언트로 실행되고 AJAX/JavaScript 및 CSS를 지원하여 Linux 서버를 액세스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여러 OS에서 지원되지만 오늘 진행할 내용의 OS는 ubuntu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1. shellinabox 설치 $ sudo apt-cache search shellinabox $ sudo apt-get install opens..
오늘은 Kubernetes pod 및 오브젝트 강제 삭제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Kubernetes에서 pod 및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굉장히 간단하지만 간혹 제대로 삭제가 안되거나 삭제 도중에 멈춰버리는 현상이 발생 합니다. 그래서 깨끗하게 삭제하기 위해 강제 삭제하는 방법들에 대해 정리를 했습니다. 다른 오브젝트들도 동일 하지만 pod를 기준으로 예시를 들겠습니다. 1. 일반 삭제 $ kubectl delete pod 2. 강제 삭제 $ kubectl delete pod --grace-period=0 --force 3. terminating상태에서 멈춤 시 강제 삭제 $ kubectl patch pvc -p '{"metadata":{"finalizers":null}}' 4. 조건으로..
오늘은 쿠버네티스 설치 및 환경 구성(ubuntu 20.04)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ubuntu 20.04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ubuntu가 아닌 CentOS이신분들이라면 아래 링크를 통해 CentOS 설치 버전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velope/Kubernetes] - [Kubernetes] 쿠버네티스 설치 및 환경구성(CentOS 7.9) [Kubernetes] 쿠버네티스 설치 및 환경구성(CentOS 7.9) 오늘은 CentOS7.9에서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및 환경구성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필자 또한 쿠버네티스(kubernetes) 공부를 하면서 진행한 내용이기 때문에 개념적인 내용 보다는 쿠버네 bono915.tistory.com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