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오늘은 리눅스(Linux) 명령어 중에 압축과 압축 해제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인 tar에 대해서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에서의 명령어를 통해 활용되는 확장자는 .tar와 .gz입니다. tar는 단순하게 여러 파일을 하나의 테이핑방식의 묶음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압축률은 전혀없고, gz는 파일을 압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1. 파일 묶기(1) $ tar cvf [묶음 파일 이름.tar] [위치 or 파일 이름]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이 file.tar로 묶였습니다. [clovir@clovirvdi tartest]$ ls server_check.sh test.txt [clovir@clovirvdi tartest]$ tar cvf file.tar ./* ./server_check...
리눅스(Linux)에서 IP를 확인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hostname -I (대문자) hostname -l 명령어를 입력하여 IP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ifconfig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하여 IP 정보와 서브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등의 다른 정보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ip addr show ip addr show 명령어를 입력하여 IP 정보와 서브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등의 다른 정보들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리눅스(Linux) IP 확인 방법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에 공감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리눅스(Linux)에서 text파일들을 편집하다보면 반복되는 문자들을 바꿔야 할 일이 생깁니다. 일일이 하나하나 바꾸다보면 오타가 생길수도있고 놓치는 부분이 많이 생기는데 이때 명령어를 통해 text의 문자들을 바꿀 수 있습니다. 먼저 vi 편집기를 통해 text파일을 열어봅니다. $ vi {파일} [root@user1 etc]# vi test bonodev bono dev test testbono devtest Esc를 통해 command모드로 전환하여 Shift + ; 를 키보드로 입력 합니다. :%s/{변경 전}/{변경 후}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onodev bono dev nnn nnnbono devnnn :%s/test/nnn 전체 내용을 한번에 안바꾸고 하나하나 체크하면서 변경 할 수도 있습..
리눅스(Linux)에서 dns에 설정되지 않아 특정 domain을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etc/hosts에서 domain을 등록해주면 domain연결이 가능하며 dns보다 먼저 IP를 읽어 올 수 있습니다. 먼저 현재 리눅스(Linux)서버가 domain과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 ping {domainName} [root@user1 etc]# ping domainserver ping: domainserver: 이름 혹은 서비스를 알 수 없습니다 hosts파일을 vi편집기로 열어서 domain을 등록 합니다. $ vi /etc/hosts [root@user1 etc]#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localhost localhost4 localhos..
리눅스(Linux)에서 vi 편집 명령어를 통해 편집기를 실행하면 내용만 나타나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내가 현재 보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싶을때 그 위치에 대한 줄 번호가 있어야 구분하기가 쉽습니다. 줄 번호 생성(line number)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vi 명령어로 text 파일을 열어봅니다. $ vi test.jsp 아래와 그림과 같이 vi editor의 내용은 나타나지만 줄 번호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커맨드 모드인 상태에서 :set number을 입력합니다. vi editor의 줄 번호가 텍스트에 앞에 적용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리눅스(Linux) vi 편집기 줄 번호(Line number) 생성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에 공감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리눅스(Linux)에서 종료와 재부팅에 관련된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들을 토대로 종합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halt 시스템 종료 $ halt -f 시스템 강제 종료 $ reboot 시스템 재부팅 $ reboot -f 시스템 강제 재부팅 $ shutdown -h now 즉시 시스템 종료 $ shutdown -h +5 5 분후 시스템 종료 $ shutdown -h 19:20 19시 20분에 시스템을 종료 $ shutdown -r now 즉시 재부팅 $ shutdown -r +10 10분후 재부팅 $ shutdown -r 11:11 11시 11분에 재부팅 $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 명령 취소 지금까지 리눅스(Linux)에서 종료와 재부팅에 관련된 명령어..
chmod는 리눅스(Linux)에서 파일의 접근 권한을 소유주(user), 그룹(group), 나머지(others)로 구분하여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 입니다. la -al 명령어를 통해 현재 파일의 권한 상태를 확인합니다. 가장 왼쪽편에 10자리의 알파벳과 -로 나타나는 내용이 파일의 권한입니다. $ ls -al drwx------. 9 clovir clovir 4096 5월 14 19:29 . drwxr-xr-x. 3 root root 20 6월 16 2017 .. -rw-------. 1 clovir clovir 13626 5월 12 04:12 .bash_history -rw-r--r--. 1 clovir clovir 18 8월 3 2016 .bash_logout -rw-r--r--. 1 clovir..
리눅스(Linux)에서 history는 단어 뜻 그대로 명령어에 대한 이력을 볼 수 있게 해줍니다. 리눅스(Linux)에 접속한 상태에서 입력한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저장이되고 로그아웃을 할때 파일 형태로 history가 저장되게 됩니다. 저장되는 위치는 .bash_history 개별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echo$HISTSIZE 명령어를 통해 저장되는 history의 갯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echo $HISTSIZE 1000 history 명령어를 통해 지금까지 실행했던 명령어들이 오름차순으로 나타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history 2042 cd log/ 2043 ls 2044 tail -f deploy-clovir.log 2045 vi deploy-clovir.log 2..